이전 게시글의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기록했다.
해결 과정
일단 ASTX가 보안 프로그램에 추가되어 있는 에러이기 때문에
기관들을 전부 실행시켜서 샌드박스에 보안프로그램들이 올라갔을 때 ASTX나 AhnLabSafeTX가 포함된 기관을 찾으려고 했다.
다른 방법으로 기관들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키면서 진행할 때 해당 샌드박스가 종료될 경우 && ASTX가 포함된 프로그램일 경우 프로그램명을 출력하도록 코드를 짜려고 했다.
(이걸 할 때 같은 icon인 프로그램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같은 경우가 있으므로 그 부분을 제외하고 처리를 하는 방법도 좋을 듯했다.)
그렇게 돌려보려고 하였는데..! 사정이 생겨서 최종보고서 작성 기간까지는 코드를 작성하지 못할 것 같았다..
...그래서 결론은 일일히 다 돌려보았다...
일일히 에러 확인을 위해 케이스들을 전부 노가다로 돌려보는 개발자가 있다?!
(상상도 못한 정체 짤)
일단 해당 에러가 나는 기관은 KDB 산업은행을 포함해서 총 12개가 있었다.
그리고 흥미로운 점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다가 설치실패한 경우가 나온 것이다.
DB금융투자와 IBK투자증권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SignKoreaCert가 둘 다 설치를 실패했고, 하나포트는 Veraport라는 프로그램이 설치가 실패하였다.
이것도 ASTX 경우처럼 보안 프로그램 종류를 다르게 만들어서 이런 경우가 나온 듯한데, 설치가 실패한 경우는 처음봐서 추후 다른 분들께도 이 케이스를 부탁드려봐야겠다.
그리고 한화투자증권은 AhnLabSafeTx와 ASTX가 같이 설치되었다. 둘이 같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2개가 깔려있을까
ASTX가 다른 버전이 나왔는데 버전 버전과 충돌이 안난 상태로 보안 프로그램이 합쳐진건가? 추후 멘토님께 여쭤보아야겠다.
PR올리는 과정
일단 해당 기관들 정리는 끝내고 가이드 문서를 작성해서 PR을 보내려고 했다.
이 때 식탁보 프로그램 레포와 사용 설명에 대한 레포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서 어디에 PR을 보내야 할지가 고민되어서 멘토님께 여쭤보았다.
(사용 설명에 대한 레포는 github.io로 배포되어 있어서 더 고민이 되었던 것도 있다.)
멘토님께서 식탁보 프로그램 레포에 md파일을 만든 후, 해당 내용을 작성해서 PR을 보내 보는 방법을 알려주셨다.
웹페이지로 배포된 곳도 사용 가이드에 대한 내용이지만, 다른 레포에도 md파일 형식으로 보안에 관련된 내용이 써있어서 그렇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사용 가이드 레포보다 프로그램 레포가 더 확인을 열심히 하는 것 같기도 하다(이건 필자의 경우이다. 사용 설명서보다 코드를 더 많이 보게 되니까)
그래서 작성을 하고 올리려고 이슈를 봤는데
이슈가 닫혀 있었다!
그래서 뭔일이지 하고 확인을 했는데 필자가 #88 이슈(버그 리포트)만 확인하고 #90 이슈(가이드문서 작성)의 확인을 놓쳐서 그런 것이었다!
PR은 이슈들을 올린 곳이 아닌 다른 곳에 올리셨었다.
확인은..꼼꼼히...
그래서 이렇게 된 김에 내가 쓴 파일과 메인테이너님께서 올린 파일의 내용을 비교하며 내 파일의 내용에서 추가할 점을 좀 기록해 두기로 하였다.
상황이 어떻게 되었든 거기서 배우고 개선할 점은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어서다.
메인테이너님이 작성하신 파일
일단 내가 작성했던 md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ASTX Error
AhnLab Safe Transaction(ASTX)이 보안 프로그램에 포함된 특정 기관에 의해 생성되는 에러에 대한 해결 방안입니다.
발생하는 오류
특정 기관을 식탁보 프로그램에서 실행시켰을 경우, 프로그램을 다 설치한 후 샌드박스가 웹사이트를 실행시킬 때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뜨면서 강제 종료됩니다.
)
해당 오류가 발생하는 기관
- KDB 산업은행
- 카카오뱅크
- BNK부산은행
- 한국투자증권
- MG새마을금고
- 애큐온저축은행
- 메리츠증권
- 한국투자증권
- 하나금융투자
- 케이프투자증권
- KB국민카드
- 삼성생명
오류 발생 시 해결 방안
식탁보를 실행시킬 컴퓨터에 AhnLab Safe Transaction을 실행시킨 후, 설정 창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아래 이미지의 과정대로 원격 접속 차단 설정을 끄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 우선 이 오류의 기본 설명에 관한 내용이 부재하다.
- 이 문서의 기본은 오류와 해당 오류에 대한 해결법이므로 굳이 제목을 따로 설정할 필요 없이 오류명 자체를 제목으로 명시한 뒤 자연스럽게 해결책까지 내용에 넣는게 좋을 듯하다.
- 그리고 오류 해결에 관한 내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글로 자세히 풀어 쓰는 것이 좋다 (중요한 부분을 잘 파악해서 깔끔하게 문서를 쓰도록 하자).
필자는 파일명을 오류명으로 하고 내용에서 오류 설명, 해결책 등으로 나눴는데 메인테이너님은 troubleshooting으로 설정해서 관련 내용들을 이 문서에 정리하기 위해 이런 형식으로 작성하셨다.
이런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추후 문서 수정도 쉽고 내용을 찾기도 좋을 것 같았다. 이후 해당 문서 내용이 길어진다면 해당 오류를 잘 찾을 수 있도록 문서 맨 위에 링크를 추가하는 게 있으면 좋겠다.
이후 메인테이너님이 올리신 문서에 해당 오류가 일어나는 기업들을 아래쪽에 추가하고, 해당 기업 중 일부를 사용할 경우 설정을 미리 바꿔놓기를 권장한다고 문구를 추가한 뒤 PR을 올렸다.
PR을 올리고 보니 CLA설정이 안되어있어서 이후 CLA 설정도 다시 하여서 PR을 올렸다.
'기타 활동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를 위한 팟캐스트 추천 (0) | 2023.04.23 |
---|---|
우당탕탕 포켓몬 스칼렛/바이올렛 고정 난수 이슈 (1) | 2023.04.09 |
변수 네이밍에 대해서 (0) | 2022.10.13 |
INFCON 후기 (0) | 2022.08.29 |
OSS 활동 [이슈 작성] (0) | 202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