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2 네트워크1-GET&POST, 3-way handshake, TCPvsUDP 1. HTTP의 GET, POST방식 비교 HTTP 프로토콜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 GET - URI(URL)이 가진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서버 측에 요청하는 형태 - URL을 이용해 데이터 전달. -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표시되어서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 전송방식에는 적합하지 않음. - URL길이가 정해져 있어서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하기 어려움. - 또한 URL형식에 맞지 않는 데이터들은 인코딩되어 전달되어야 함. - 브라우저에서 캐싱 가능. - 크롤러가 접근하여 데이터를 임의로 수정 가능. - Select적 성향이어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형태로 많이 쓰임. - 서버의 값이나 상태를 변경하는 용도로는 잘 사용되지 않음. POST - HTM.. 2021. 5. 17. RAKE 오픈소스 써보기 1일차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3. 22. .gitignore 에러 해결 프로젝트를 커밋했는데 .gitignore에 넣어 둔 파일이 다시 커밋되었다. 즉 .gitignore 파일 추가 이전에 커밋한 파일들이 계속 스테이지에 표시되는 것이다. 그래서 원인을 알아보니 git cache 때문이었다고 한다. .gitignore에 대한 설명과 에러 해결에 대한 내용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1. .gitignore? - 민감한 정보가 들어 있는 파일 / 형상관리할 필요가 없는 파일들은 git에서 더 이상 추적하지 않도록 해당 파일에 추가해 커밋 내역에서 제외되도록 한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 최상단에 위치되도록 한다. ++올리면 안 되는 정보는 .env 파일에 환경변수로 저장하고 .gitignore에 등록해야 함. ++github 프로젝트 생성할 때 자체적으로 템플릿을 주지만, 아래 사이.. 2021. 3. 18. get, post 방식 관련 error 해결 get, post는 url이 같으면 같이 진행되기 때문에 먼저 진행되기를 원하면 느리게 하고 싶은 프로젝트에 Thread.sleep를 추가하면 된다. 2021. 3. 17. 이전 1 ··· 73 74 75 76 77 78 다음